본문 바로가기
기업분석

레이크머티리얼즈(281740)

by forest-lee 2025. 7. 22.
반응형

레이크머티리얼즈(281740)는 반도체·디스플레이·전고체 배터리 핵심 소재 분야에서 기술 국산화와 글로벌 공급망 확보에 성공한 국내 대표 소재 전문 기업입니다. LED 전구체 세계 1위, 반도체 프리커서 국산화, 전고체 배터리 소재 양산 등 미래 성장 가능성과 ESG 경영, R&D 투자를 기반으로 중장기 투자 가치가 높은 종목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레이크머티리얼즈의 역사
2.2  레이크머티리얼즈의 조직 구조
2.3  레이크머티리얼즈의 상품과 서비스
2.4  레이크머티리얼즈의 비전
2.5  레이크머티리얼즈의 연구개발 및 미래투자
2.6  레이크머티리얼즈의 각종 대회 참가 및 성과

3.  결론
 

 

 

1.서론

 

레이크머티리얼즈(281740)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고체 배터리 핵심 소재 분야에서 빠르게 성장 중인 국내 대표 소재 전문 기업입니다.

2010년 설립 이후 TMA 기반의 전구체 기술을 바탕으로 LED 전구체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했으며, 반도체용 프리커서 국산화에 성공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 등 글로벌 고객사와의 공급망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자회사 레이크테크놀로지를 통해 전고체 배터리 소재(LiS) 공장을 준공하고 본격 양산 체제에 돌입했으며, 2025년부터 실적 기여가 기대됩니다.

매출의 10% 이상을 연구개발에 투자하며, ESG 경영과 친환경 공정 기술을 실현 중인 레이크머티리얼즈는 차세대 반도체·이차전지 산업의 핵심 소재 공급업체로서 중장기 투자 관점에서 주목할 만한 기업입니다.

AI이미지

2. 본론

2.1 레이크머티리얼즈의 역사

2.1.1  2010~2012: 개척과 도전 성장 기반 구축

20105: ()레이크엘이디 법인 설립

20112: 본사 2공장 완공 / TMG·TMA 양산

20123: TMA/TMG 양산 및 Qual.Pass

          12: 100만불 수출의 탑 수상

2.1.2  2013~2016: 포트폴리오 구축 다변화 기반 마련

20134: 사명 변경 ()레이크머티리얼즈

20143~12: 디스플레이·태양광 전구체 Qual.Pass / 500만불 수출탑 수상

2016: 1,000만불 수출탑 / 대통령 표창 수상

2.1.3  2017~2022: 변화와 혁신 성장과 도약

20172: 대만 해외지점 설립

2021: 2,000만불 수출탑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 선정

2022: 3,000만불 수출탑

ESG 경영 선언 / 세종미래 사업장 설립

지역기업지원 우수사례 선정

2.1.4  2023~2024: 고속 성장 미래 산업 진출

20234: 글로벌 강소기업 1000+ 선정

20241: 자회사 레이크테크놀로지, 전고체 배터리 소재(LiS) 공장 준공



 

2.2 레이크머티리얼즈의 조직 구조

2.2.1 본사 조직 구조

(1) 경영진

대표이사: 회사의 전반적인 전략 수립 및 의사결정 주도.

부문별 본부장: 반도체 소재, 디스플레이 소재, 글로벌 영업 등 주요 사업 부문 총괄.

 

(2) 핵심 부서

R&D 센터:

반도체 프리커서 및 디스플레이 유기재료 개발을 위한 핵심 부서.

ALD/CVD 공정용 전구체, OLED 소재 등 차세대 기술 연구에 집중.

정부 지원 R&D 프로젝트와 연계해 친환경 소재 개발 추진.

 

생산본부:

국내 생산 시설(천안, 세종 등)과 해외 법인(중국, 대만)의 제조 공정 관리.

스마트 팩토리 도입을 통한 생산 효율성 및 품질 관리 강화.

 

글로벌 영업본부:

해외 법인을 통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BOE 등 글로벌 고객사와의 협력 강화.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광 등 분야별 맞춤형 솔루션 제공.

 

경영지원본부:

재무, 인사, 총무, ESG 경영 등 내부 관리 업무 담당.

ESG 팀에서는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환경 관리 시스템 운영.

2.2.2 해외 법인 및 지사

중국 법인(시안, 상하이):

현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업체 대상 영업 활동 및 기술 지원.

대만 법인:

TSMC, UMC 등 파운드리 업체와의 협력 강화.

기타 지역:

미국, 일본 등 주요 시장 진출을 위한 현지 파트너십 구축 중.

2.2.3 연구소 및 기술 개발 조직

소재 개발 연구소:

유기금속 화학 소재, 반도체 프리커서, OLED 재료 등 핵심 소재 연구.

차세대 반도체용 소재(e.g., High-K, Metal Oxide) 개발 진행 중.

공정 기술 연구소:

ALD/CVD 공정 최적화 및 신기술 적용을 위한 테스트 환경 구축.

2.2.4 생산 및 품질 관리

품질 보증팀:

ISO 9001, ISO 14001 인증 기반 하에 품질 관리 시스템 운영.

고객사 요구사항 충족을 위한 맞춤형 테스트 및 인증 지원.

공급망 관리팀:

원자재 조달 안정화 및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

 

 

2.3 레이크머티리얼즈의 상품과 서비스

2.3.1 주요 상품

(1) LED 전구체 (LED Phosphor)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자랑하는 핵심 제품으로, 청색 LED에 적용되어 백색광을 구현하는 소재입니다.

기술적 특징: 고효율·장수명 실리케이트 기반 소재 개발로 경쟁사 대비 우수한 광출력과 내열성 확보.

적용 분야: TV, 스마트폰, 조명, 자동차 헤드라이트 등.

(2) 반도체 프리커서 (Precursor)

ALD(원자층 증착) CVD(화학 기상 증착) 공정에 사용되는 유기금속 화합물로, 반도체 소자의 박막 형성에 필수적입니다.

주요 제품: 메탈 옥사이드(MO), 하이-K(High-K) 소재 등 차세대 반도체용 프리커서.

고객사: 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

(3) 디스플레이 유기재료

OLED 패널 제조에 사용되는 발광층·전자수송층 소재를 공급합니다.

기술 경쟁력: 고해상도·고색재현율을 구현하는 소재 개발로 프리미엄 디스플레이 시장 점유율 확대.

(4) 석유화학 촉매

신규 성장 동력으로, 에틸렌 생산 공정에서 사용되는 메탈로센 촉매를 개발해 상용화했습니다.

특징: 기존 수입 의존 품목을 국산화해 가격 경쟁력과 공급 안정성 확보.

2.3.2 서비스 및 솔루션

맞춤형 소재 개발: 고객사의 공정 조건(온도, 압력, 신호 속도 등)에 최적화된 커스텀 프리커서 설계 및 공급.

기술 지원: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사와의 협업을 통한 공정 테스트 및 성능 검증 지원.

글로벌 공급망 관리: 중국, 대만 등 해외 법인을 통해 신속한 납품 및 기술 컨설팅 제공.

AI이미지

2.4 레이크머티리얼즈의 비전

2.4.1 초기 비전: "세계 최고의 소재기업 성장"

설립 배경: 2010년 설립 당시, 해외 의존도가 높은 LED용 소재의 국산화를 목표로 출발했습니다.

핵심 목표:

TMA(트리메틸알루미늄) 기술을 기반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LED, 석유화학 촉매 등 다양한 첨단 소재 분야의 국산화 실현.

글로벌 소재 시장 진출을 통해 세계적인 소재 기업으로 도약.

2.4.2 현재 비전: "첨단 소재 기술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이끈다"

지속 가능성 강조:

ESG 경영을 통해 탄소 중립, 재생 에너지 활용, 친환경 공정 기술 개발 등 환경 친화적 경영 실천.

친환경 소재 개발(: 저전력 반도체 소재, 재활용 가능 소재)을 통해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 구축.

 

기술 혁신 중심:

반도체 프리커서, OLED 유기재료, 2차전지 소재 등 차세대 기술 분야에 R&D 투자를 확대하며 시장 선도.

전고체 배터리 핵심소재 양산 체제 구축을 통해 미래 에너지 시장 진출.

 

글로벌 시장 확대:

중국, 대만 등 해외 법인을 통해 글로벌 고객사(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 )와의 협력 강화.

신규 시장인 2차전지 및 자율주행차용 소재 분야로의 확장 추진.

 

 

2.5 레이크머티리얼즈의 연구개발 및 미래 투자

2.5.1 연구개발(R&D) 현황

(1) 반도체 소재 분야

신규 전구체 개발:

ALD/CVD 공정용 하프늄(Hf), 지르코늄(Zr) 등 고순도 금속 화합물 개발 완료.

Si 계열 전구체 등 추가 제품 라인업 확대 예정.

고객사 확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에 신규 소재 공급 시작 (20252월부터 매출 기여 예상).

 

(2) 전고체 배터리 소재

황화리튬(LiS) 개발:

자회사 레이크테크놀로지를 통해 전고체 배터리용 황화리튬 소재 개발 완료.

2025년 예상 매출: 55억 원 수준으로,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CATL 등 주요 배터리 업체와 협력 추진.

차세대 배터리 기술: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은 높은 전압, 안정성, 빠른 충전 속도가 특징으로, 전기차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시장 타겟.

 

(3) 디스플레이 및 LED 소재

OLED 유기재료:

고색재현율·고해상도 구현을 위한 발광층·전자수송층 소재 개발.

LED 전구체: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유지하며, 친환경 소재 및 고효율 제품으로 기술 리더십 강화.

 

(4) 기타 신사업

석유화학 촉매:

메탈로센 촉매(MAO) 및 담지촉매 개발로 석유화학 분야 확장.

2차전지 소재:

리튬 이온 배터리 소재에서 전고체 배터리 소재로 포트폴리오 다각화.

2.5.2 미래 투자 전략

(1) R&D 투자 확대

연간 매출의 10% 이상을 R&D에 투자해 차세대 소재 기술 개발 (반도체, 배터리, 디스플레이 분야).

스마트 팩토리 도입으로 생산 효율성 및 품질 관리 강화.

 

(2) 글로벌 시장 확장

중국·대만 현지 법인을 통한 글로벌 고객사 확보 및 현지 생산 시설 확대.

전고체 배터리 소재를 앞세워 유럽·북미 시장 진출 추진.

 

(3) ESG 경영 강화

재생 에너지 활용 제조 공정 도입 및 탄소 배출 감축 기술 개발.

친환경 소재 개발로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 구축.

AI이미지

2.6 레이크머티리얼즈의 각종 대회 참가 및 성과

2.6.1 국제 전시회 및 기술 박람회 참가

SEMICON KOREA:

반도체 소재 분야의 세계적 전시회인 SEMICON KOREA에 정기적으로 참가해 반도체 프리커서, OLED 유기재료 등 최신 기술을 선보이고 글로벌 고객사와의 네트워킹 강화.

K-Display 2023:

디스플레이 기술 전시회에서 고색재현 OLED 소재 및 차세대 발광층 재료를 공개하며 기술력 인정.

LED Korea 2023:

LED 산업 전시회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 1LED 전구체 기술을 강조하고, 친환경 소재 개발 성과를 공유.

2.6.2 정부 지원 R&D 프로젝트 성과

산업통상자원부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지원 사업 선정:

반도체 프리커서 국산화 및 전고체 배터리 소재 개발 관련 프로젝트에 선정되어 정부 지원을 받으며 기술 경쟁력 강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수기술연구센터(ATC) 지정:

유기금속 화합물 합성 기술 분야에서 연구 역량을 인정받아 ATC로 지정되며 R&D 자금 및 기술 지원 확보.

2.6.3 기술 혁신 관련 수상 내역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기술혁신상 수상:

LED 전구체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달성과 반도체 프리커서 국산화 성공을 인정받아 수상.

ESG 경영 우수 기업상:

탄소 중립 목표 설정 및 친환경 소재 개발 성과를 바탕으로 ESG 경영 분야에서 수상 경력 보유.

2.6.4 주요 성과 및 기록

LED 전구체 시장 점유율 1:

글로벌 LED 제조사에 실리케이트 기반 전구체를 공급하며 20% 이상의 시장 점유율 유지.

반도체 프리커서 국산화 성공:

일본에 의존하던 ALD/CVD 공정용 전구체를 자체 개발해 수입 대체 효과 창출.

AI이미지

3. 결론

 

레이크머티리얼즈는 LED,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등 첨단 산업의 핵심 소재를 국산화하고 글로벌 공급망을 확보해 나가며, 미래 성장 동력인 전고체 배터리 분야까지 진출하고 있는 점에서 매우 매력적인 중장기 투자처로 평가됩니다.

특히 기술 경쟁력과 ESG 경영, R&D 집중도에서 업계 평균을 뛰어넘는 역량을 보여주고 있으며, 2025년 이후 실적 가시화가 기대되는 만큼 향후 기업 가치 상승 가능성도 큽니다.

본 자료가 투자 판단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항상 냉철한 분석과 리스크 관리로 성공적인 투자 이어가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브레인(357780)  (0) 2025.07.24
마이크로컨텍솔(098120)  (1) 2025.07.23
이녹스첨단소재(272290)  (2) 2025.07.21
부국증권(001270)  (1) 2025.07.21
삼성중공업(010140)  (1) 2025.07.20